본문 바로가기

간호사 공부 모음

뇌신경 (Cranial nerve): 안면신경 (Facial Nerve)

Cranial Nerve Introduction

  • 12 쌍의 뇌신경 존재
  • 각 신경은 로마자로 표기, 각각의 이름 존재
  • 크게 기능에 따라 세가지로 나뉨

Afferent: arriving information (정보가 도착하는, 즉 감강정보를 말함)

Efferent: exiting information (정보가 나가는, 즉 운동정보를 말함)

뇌는 여러가지 감각 정보를 "받고: 감각 정보, afferent," 알맞는 운동정보를 모든 기관에 (내장기관, 골격근기관)에 "보내도록: 운동정보, efferent,"하는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수 있다. 

  1. 순수하게 감각만 담당하는 신경: olfactory nerve (후각), optic nerve(시각), vestibuloccochlear nerve(청각)
  2. 순수하게 운동만 담당하는 신경: occulomotor(안구운동), trochlear(안구운동), abducens(안구운동), accessory(등세모근/ 흉세유돌근) , hypoglossol nerve (혀의 근육 조절)
  3. Motor and sensory: trigeminal, facial, glassopharyngeal and vagus

12 Cranial Nerves

  • 뇌신경의 감각(sensory) 및 운동(motor) 신경핵은 brain stem의 여러 공간에 놓여 있다. 
  • Midbrain(중뇌): III, IV
  • Pons(뇌교): V, VI, VII, VIII
  • I,II => brainstem에 없음. 

Anatomy of Cranial Nerve

  • UMN(upper motor neuron) VS LMN(lower motor neuron) 
UMN (upper motor neuron)  LMN (lower motor neuron): Bells palsy
이마쪽은 영향 받지 않음 이마쪽도 마비를 입음
손상부위와 영향받은 부위가 반대쪽
(왼쪽 뇌경색시 오른쪽 얼굴 아랫부분 마비)
손상부위와 영향받은 부위가 같음
(안면신경손상-왼쪽 안면마비)
  • Facial Nerve(VII): pons에 위치, (motor, 얼굴에 근육 움직임 + sensory,혀에 미각을 전달)
  • 안면신경 사정_운동( 눈을 잘 감는지, 입의 꼬리가 동일하게 올라가는지, 팔자주룸이 생기는지)
  • 안면신경 사정_감각 ( 혀의 미각은 앞쪽 혀의 2/3차지, dropping normal saline at the tonge)

'간호사 공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roke Code  (0) 2023.07.05
PCA Stroke: 후두엽 (Visual Cortex)  (0) 2023.07.05
ACLS Algorithm  (0) 2023.07.04
Moderate Sedation (RASS: Richmond-Agitation-Sedation-Scale)  (0) 2023.07.03
IICP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0) 2023.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