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사 공부 모음

신경과 검사: EMG &NCT(근전도 & 신경전도 검사)

손가락을 움직이며 날아오는 공을 피하고 얼음의 차가움을 느끼는 것, 모두 신경의 기능이자 역할이다. 
신경은 온몸에 존재하면서 머리끝부터 발 끝까지 뇌의 명령을 전달하고 피부, 눈, 근육 등의 인체기관에서 정보를 수집해 뇌로 전달한다. 
 
 
신경전달의 속도: 약 초속 100m/s정도


굉장히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정보들이 오고 감을 알 수 있다. 
 

말초신경에 문제가 생긴다면

손과 발을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차갑고 뜨거운 느낌을 알지 못하고
손발의 저림, 화끈거림이 계속된다. 

 
이럴 때 근전도 검사를 시행해 말초 신경계의 이상 여부를 관찰해 질환을 정확하게 진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근육은 무수히 많은 근섬유로 되어 있으며 신경과 연결되어 있다. 

 
인체가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자극을 받으면 신경줄기를 따라 전기 신호로 뇌까지 전달된다. 
뇌는 이 신호에 따라 근육을 수축시키라는 명령을 내려 자극에 반응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뜨거운 것을 만지면 대뇌는 근육을 수축시켜 팔을 구부린다. 이때의 명령은 전기적 자극으로 아주 짧은 순간 근육에 전달된 것이다. 이 전기적 자극이 있을 때와 없을 때 근육에서 관찰되는 미세한 전기적 차이를 관찰하는 것이 근전도 검사의 원리이다. 

 
근전도 검사는 전기 신호를 감지해 그래프로 나타낸다.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는 평탄한 그래프를 그리지만 자극이 있는 상태에서는 진폭이 큰 그래프를 그리고 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지연 반응이 있거나 지속 시간이 짧은 그래프가 관찰된다. 
 
근전도 검사는 의심되는 질환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시행되는데 크게 침 근전도 검사신경전도 검사로 볼 수 있다. 

EMG (electromyograpy):  (침) 근전도 검사

침 근전도 검사는 검사할 부위에 가느다란 침을 삽입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 시 발생되는 전기적 활동성을 측정한다. 

Illustration by Cindy Chung, Verywell

 

침 근전도 검사 시 주의 사항
항응고제 복용
혈소판 감소증
응고인자 결핍증 환자
위와 같은 증상을 가진 환자들은 출혈의 위험이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전도 검사는 비교적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검사지만 침 전극을 삽입하거나 자극이 주어질 때 저리거나 경미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자극을 이용해하는 검사인만큼 인공심박동기를 부착한 환자는 검사 전 미리 의료진에게 알려야 한다. 

NCT (nerve conduction test): 신경전도 검사

신경전도 검사는 검사부위에 기록용 전극을 부착하고 전기 자극을 주면서 검사한다. 이때 기록용 전극에서 신경이 전달되는 거리를 측정해 신경전도 속도를 측정한다. 

Illustration by Cindy Chung, Verywell

 
이외에도 운동신경을 반복 자극해 지폭의 증감 정도를 비교 평가하는 반복 신경 자극검사뇌신경 중 안면신경과 삼차신경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는 눈 깜박 반사 검사가 있다. 
 

근전도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질환들

- 근이영양증 (muscular dystrophy)및 다발 근염(polymiositis)과 같은 진행성 근육 장애
- 중증 근무력증, 길랭바레 증후군과 같은 근육 및 신경 연결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
- 근위축성 축삭 경화증 (ALS), 뇌와 척수의 신경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 말초신경 병증, 손목터널 증후군과 같은 말초 시경계, 뇌 외부의 신경 및 척수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말초신경 장애
- 좌골 신경통, 신경 근병증,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신경근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