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사 공부 모음

대상포진 (zoster)

image from google. 

대상포진이란 띠 모양의 발진이라는 뜻으로 피부의 한 곳에 통증과 함께 신경절을 따라서 줄무늬 발진과 수포들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원인은 수두를 유발하는 수두 대상포진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이다. 환자들은 피부과를 통해 입원하고 통증 호소를 많이 한다. 통증 경감을 위해 우리 병원에서는 마약성 진통제 딜리드정 (히드로 모르폰 염산염) 1T TIDPC 처방하고 조이렉스 (항바이러스제)1 vial TID IVS로 처방 난다. 만약 환자가 통증 호소가 심하면 딜리드정을 QIDPC로 증량하고 캐롤에프정 (Ibuprofen) TIDPC 투약한다. 또한 수포가 발생했을 때 wet dx BID로 10AM, 4PM에 간호조무사에게 위임해 시행한다.

증상:

- 발병 초기: 몸의 한쪽에 심한 통증이나 감각 이상, 피부 불쾌감 (주로 가슴, 허리, 둔부에 발생함)
- 발병3-4일 후: 띠 모양의 가늘고 줄을 이룬 모양의 발진이 나타나며 점차 수포(물집)로 바뀜. 드물게 발진 없이 통증만 호소하는 경우도 있음.
- 발병 7-14일후: 수포가 고름이 차며 탁해지다가 가피가 앉음.
- 발병 1개월 후: 피부 병변 회복되지만 통증은 몇 달 혹은 몇 년까지 지속되기도 함.

진단

- 피부에 나타나는 수포를 관찰하여 임상적 진단을 내릴수 있다.
- 수포가 발생하지 않을 때도 있기 때문에 조직검사, 바이러스 배양 검사, 분자 유전자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대상포진의 치료:

-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할 경우 바이러스가 좀 더 약해지고 빨리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증상을 감소시키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 일어날 확률이 낮아진다. 첫 발진 후 72시간이 지나기 전에 의사를 만나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성분명상품명
Acyclovir- Zovirax (조비락스정)
- Jinacid dry syrup (지나시드건조시럽)
mciclovir- Famvir (팜비어정)
- Famciver(팜시버정)
Valaciclovir- Valtrex (발트렉스정)

- 부신피질스테로이드: 염증을 줄여주며 발적, 부기를 감소시키고 통증의 강도와 지속기간을 줄일 수 있어 항바이러스제와 함께 복용할 수 있다. 하지만 당뇨, 고혈압, 녹내장이 있을 경우 사용이 힘들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지 못하다. (색칠한 부분: 자주 사용했던 약물들)

성분명상품명
Prednisolone- Solondo (소론도 정)
Methylprednisolone- Methylon (메치론정)
Dexamethasone- Dexamethasone (덱사메타손정)
Hydrocortisone- Hyroxon (히록손정)

- 신경통의 경감을 위한 약제: 대상포진을 앓고 난 후 지속적인 신경통을 호소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성분명상품명
Gabapentin- Neurontin (뉴론틴 캡슐/ 뉴론틴 정)
- Neuleptol (뉴렙톨)
Pregabalin- Lyrica (리리카 캡슐)
Tramadol-Tridol Retard (트리톨 서방정)
- Tridol soluble (트리돌 솔루블정)
Acetaminophen/Tramadol- Ultracet ER (울트라셋 서방정)
- Ultracet SEMI ER (울트라셋 세미 서방정)
Capsaicin- Diaxene cream (다이악센 크림)
- Dipental cream (다이펜탈 크림)
Lidocaine/Prilocaine- Emla cream (엠라 크림- CAG시 사용 多)
Lidocaine- Lodotop plasma (리도탑카타플라즈마)
Amitryptyline- Amitriptyline (아미트립틸린정)
NortriptylineSensival (센시발)
Imipramine- Imipramin (이미프라민정)

- 예방접종:

성분명상품명
Attenuated- Zostavax (조스타박스주)

환자 교육: 대상포진은 주로 전신적 면역기능이 떨어 졌을 때 생기므로 평소에 건강관리를 잘해야 한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퇴원 했더라도 과로하거나 면역기능이 떨어지면 재발 할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신경절을 따라 분포하므로 통증이 심하며 신경을 따라 다리도 찌릿찌릿 아픈 증상이 있을 수 있다. 실제로 오른쪽 둔부에 대상포진이 있는 환자가 오른쪽 발까지 저린 증상이 있다고 호소하는 경우를 본적 있다.